참 좋은 고기 ‘참다랑어’
출처
출처
수산물안전정보서비스

4월  수산물소개

참 좋은 고기 ‘참다랑어’

  참치란?

  우리가 흔히 ‘참치’라고 부르는 어류는 ‘다랑어’를 말한다. ‘참치’라는 이름은 1957년 인도양에 처음 출어한 우리 원양어선 선원들이 ‘진짜 고기’, ‘참 좋은 고기’라는 뜻으로 부른 것이 대중화된 것이라고 한다. 현재 ‘참치’라는 용어는 다랑어와 다랑어유사종(새치류 등)을 포괄하는 단어로 사용되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참치의 영명으로 알려진 ‘tuna’는 다랑어로 분류되는 종들을 일컫는 용어이다. 즉, 참치 안에 다랑어가 포함된다고 이해하면 된다.


  다랑어류는 크게 조업수역에 따라 열대성다랑어와 온대성다랑어로 구분되며, 열대성 다랑어에는 눈다랑어, 황다랑어, 가다랑어, 온대성 다랑어에는 태평양참다랑어, 대서양참다랑어, 남방참다랑어와 날개다랑어가 포함된다.

  이 중 우리가 회로 즐기는 참치가 바로 ‘참다랑어’이며, 통조림으로 먹는 참치는 ‘가다랑어’이다. 즉, 회로 먹는 어종과 통조림으로 먹는 어종이 다르다.

  참다랑어의 특징

  참다랑어는 고등엇과 다랑어속의 바닷물고기로, 몸길이가 3m에 이르는 대형 어종이다. 국립수산과학원에 따르면 1t에 가까운 800㎏짜리 초대형이 잡힌 기록도 있다. 부화 후 1년이면 몸길이가 52∼78㎝에 이르고 5년이면 최대 160㎝까지 자라며 수명은 15년으로 추정된다. 헤엄치는 속도가 매우 빠르고 회유 및 이동범위가 넓어서 고도(高度) 회유성 어종으로 분류된다. 우리나라 제주도, 남해, 동해에 출현하며, 일본과 전 세계의 온대 및 열대 해역에 분포하며, 주로 소형 어류와 오징어 등을 먹고 산다.


  몸은 유선형이고 물의 저항을 줄이기 위해 비늘이 거의 퇴화되어 없어졌다. 태어나서 죽을 때까지 멈추지 않고 헤엄치는데, 밤에도 잠든 채 속도를 낮춰 유영한다고 한다. 엄청난 속도로 유영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 양식하기 어려운 어종이다.

  참다랑어는 지방이 적고 단백질이 풍부해 다이어트 중인 사람도 부담 없이 먹을 수 있는 영양 식품이다. DHA가 풍부한 등푸른 생선 중에서도 가장 많은 DHA를 함유하고 있다. DHA 성분은 뇌세포를 성장, 발달시켜주어 두뇌 회전을 원활하게 해주기 때문에 기억력과 학습능력을 높여준다.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어 동맥경화 등 혈관계질환 예방에도 효과적이다.

  참다랑어는 몸에 좋고 맛도 좋지만 많이 섭취하는 것은 건강에 좋지 않다. 바다 깊은 곳(심해)에 서식하는 대형어류는 해양생물 먹이사슬 상위에 위치하고 수명이 길어 메틸수은 등 중금속 축적량이 많다. 대형어류인 참치 역시 체내에 납, 카드뮴, 비소 등 중금속 농도가 높다. 특히, 횟감용으로 쓰는 참다랑어는 심해성 어류로 크기가 크고 오래 사는 어종이므로 중금속이 다량 축적되어 있어 섭취량을 제한하는 것이 좋다. 참치통조림에 사용되는 가다랑어는 수면위에서 활동하는 2~4년생을 주로 사용하므로, 심해성 어류인 참다랑어에 비해 중금속 함량이 1/10 수준으로 낮은 편이다.

  참다랑어 등 참치 섭취권고량

  2017년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생선의 메틸수은 함량과 위해평가 결과를 통해 생선을 ‘일반어류와 참치통조림’과 ‘다랑어‧새치류 및 상어류’로 분류하고 메틸수은에 민감한 임산부, 어린이 등 민감 계층을 대상으로 한주 단위 권장섭취량을 제시한 『생선 섭취 가이드라인』을 발표하였다.

  이 가이드라인에 따른 다랑어와 참치통조림의 섭취대상별 섭취권고량은 다음과 같다.

[다양한 생선을 한 주 동안 섭취하는 경우의 섭취량 예시]

섭취량(g) 임신․수유부 1-2세 3-6세 7-10세
일반어류와 참치통조림 다랑어, 새치류 및 상어류 일반어류와 참치통조림 다랑어, 새치류 및 상어류 일반어류와 참치통조림 다랑어, 새치류 및 상어류 일반어류와 참치통조림 다랑어, 새치류 및 상어류
섭취예1 400 0 100 0 150 0 250 0
섭취예2 300 25 75 6 100 13 150 26
섭취예3 200 50 50 13 75 20 100 39
섭취예4 100 75 25 19 50 27 50 52
섭취예5 0 100 0 25 0 40 0 65


[최대오염도(기준) 대비 섭취권고량]

어류 분류 최대오염도
(기준, μg/g)
잠정주간섭취허용량
(PTWI)
(㎍/㎏
b.w./week)
최대섭취 허용량(g/week)
1-2세 3-6세 7-10세 임신부 및 수유부
일반어류 및 참치통조림 총수은 0.5 3.7 100 150 250 400
다랑어․새치류 및 상어류 메틸수은 1.0 2.0 25 40 65 100

  남획으로 멸종 위기에 처한 참치

  우리가 흔하게 생각하는 참치는 사실 과도한 남획으로 멸종의 위기에 처해있다. 참다랑어의 경우, 우리나라 연안에서 어획되는 태평양참다랑어와 남반구에서 어획되는 남방참다랑어 모두 자원이 남획된 상태인데다 과도어획까지 일어나고 있어 자원 고갈의 위험성이 있는 상태이다. 참치는 무분별한 남획을 막기 위해 국가별 어획 할당량을 적용받기 때문에 어획량이 제한되어 있다. 이에 해양수산부는 「참다랑어 자원의 보존과 관리에 관한 고시」를 마련하고, 우리나라 주변수역에서 태평양 참다랑어(Pacific bluefin tuna) 자원의 합리적인 보존과 관리를 위하여 필요한 사항을 규정하고 있다.

  고시에 따르면 태평양 참다랑어 어획노력량 및 어획은 중서부태평양수산위원회(WCFPC) 보존관리조치에 따른 한도를 초과할 수 없다. 참다랑어 어획한도를 배정받은 사람이 참다랑어를 포획한 경우에는 조업상황 및 어획실적을 해양수산부장관 및 국립수산과학원장에게 전화·팩스 또는 전자메일 등으로 24시간 이내에 보고하여야 한다. 포획한 모든 참다랑어는 수협 위판장에 위판하여야 한다.

  참다랑어 어획량이 감소하면서 세계 참다랑어 생산 국가들이 양식으로 눈을 돌리고 있다. 주요 양식대상종으로 대서양 참다랑어는 주로 지중해 연안, 태평양 참다랑어는 우리나라와 일본, 멕시코, 남방참다랑어는 호주에서 주로 양식되고 있다. 2002년 일본의 긴키 대학이 세계 최초로 치어 단계에서부터 참다랑어 양식에 성공하였으며 우리나라도 일본에 이어 지난 2015년 국립수산과학원 주관 하에 전남 거문도 양식장에서 참다랑어 양식에 성공하였다. 그리고 2018년에 양식 참다랑어가 실제로 출하되기 시작하였다. 또한 해양수산부가 잡는 어업을 축소하고 자원을 관리하고 양식업을 확대하는 어업으로 전환하고자 올해 8월부터 대기업의 양식어업 진출을 허용함에 따라 참다랑어 양식 산업이 더욱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