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리집 로고 이 누리집은 국립수산물품질관리원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한국의 전통 농어업 유산 4개, 세계중요농업유산으로 공식 인증
출처
출처
수산물안전정보서비스
작성일
작성일
2025-11-18 03:32:50
   
정책정보
 

한국의 전통 농어업 유산 4, 세계중요농업유산으로 공식 인증

- 10. 31. 이탈리아 로마 세계식량농업기구(FAO) 본부에서 세계중요농업유산(GIAHS) 인증서 수여식 개최

 

해양수산부(장관 전재수)와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송미령)1031() 이탈리아 로마 세계식량농업기구(FAO) 본부에서 제주 해녀어업 하동·광양 섬진강 재첩잡이 손틀어업 남해 지족해협 죽방렴어업 울진 금강송 산지농업시스템 등 4개 전통 농어업 유산이 세계중요농업유산(GIAHS*)으로 공식 인증을 받았다고 밝혔다.

 

* Globally Important Agricultural Heritage Systems

 

세계중요농업유산(GIAHS)은 세계식량농업기구(FAO)가 운영하는 국제 인증제도로, 전통적 농어업시스템 및 생물다양성 보존과 지속가능한 활용을 지원하기 위해 지정된다.

 

현재 전 세계 29개국의 102개 농어업유산이 등재되어 있으며, 이번 인증으로 우리나라는 농업유산 6, 어업유산 3개 등 총 9개의 인증을 받게 되어 세계에서 세 번째로 많은 농어업유산을 보유한 국가로 자리매김하게 되었다.

 

아울러, 이번 세계중요농업유산(GIAHS) 인증서 수여식과 함께 열린 전시회에서는 인증 지역의 농어업유산과 관련된 수공예품, 가공식품 등을 소개하여 각 지역의 독창성과 지속가능성을 알리고 국제적 교류와 이해를 넓히는 시간을 가졌다.

 

이 외에도, 우리나라는 올해 1016일 개관한 세계식량농업기구(FAO) 박물관에 제주 해녀의 정신을 상징하는 제주해녀상을 영구 기증전시하였다. 이는 전통적인 여성 잠수어업의 가치를 국제사회에 알리는 동시에, 세계 중요농업유산 보존 활동과 연계된 협력 사례라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

 

해양수산부와 농림축산식품부는 앞으로도 관련 지자체 및 세계식량농업기구(FAO) 사무국과 긴밀히 협력하여 현재 추진 중인 신안·부안 갯벌 천일염업 어업시스템, 구례 산수유 농업 시스템, 의성 전통수리 농업시스템의 세계중요농업유산 등재를 적극 지원하는 등 우리 농어업유산의 가치를 세계로 확산시켜 나가겠다.”라고 밝혔다.

 

 

 

참고1

 

세계중요농업유산(GIAHS)제도

 

세계중요농업유산(GIAHS) 개요

 

(추진배경) 전통적 농업시스템보전목적으로 하는 GIAHS 이니셔티브*를 발족하면서 FAO(세계식량농업기구)창설한 제도

* 지속가능한 개발에 관한 세계정상회의(WSSD, 남아공, 2002)

 

(추진목적) 세계적으로 중요한 임업 유산시스템 및 관련 경관, 생물다양성 지식 시스템을 식별하고 동적인 보존지속 가능한 관리

 

지정절차

GIAHS 제안서

작성 및 제출

GIAHS 제안서

접수 및 심사

GIAHS

평가 및 지정

인정 및 등록

국가(정부, 위원회 등)

GIAHS 사무국

GIAHS 사무국,

제안서 요건 확인

SAG(과학자문그룹)

(지정/ 보완 / 거부)

인증서 수령

( FAO 사무총장 서명 )

 

<GIAHS 등재기준>

등재기준

세부정의

식량 및 생계의 안정성

(Food and livelihood security)

지역공동체의 식량생계안정 기여, 공동체 내에서 공급과 교류가 이루어지는 자급자족 농업과 생계유지를 위한 다양한 농업

생물다양성

(Agro-biodiversity)

농업, 어업, 목축, 임업 등 식량 및 농업에 직간접적으로 이용되는 다양한 동물, 식물, 미생물로 정의된 생물다양성과 유전자원

지역 및 전통적 지식시스템

(Local and Traditional Knowledge systems)

농업, 어업 등 생업 활동을 지원하는 생물 종, 토지, 수자원과 자연 자원에 대한 독창적인 적응기술 및 관리시스템

문화, 가치체계 및 사회조직

(Culture, value systems and social organizations)

자원의 이용 및 접근에 대한 형평성을 보장하는 규범과 관행, 농업시스템의 역동적 보전에 기여하는 공동체조직

육지경관 및 해양경관의 특징

(Landscape and Seascape Features)

인간과 환경의 상호작용을 통해 개발되었거나 안정화되면서 느리게 진화한 것처럼 보이는 육지경관이나 해양경관

 

참고2

 

세계중요농업유산 등재 현황(29102, 25.10월 기준)

국가

명칭

대한민국(9)

(어업유산 3,

농업유산 6)

청산도 구들장논, 제주 밭담, 하동 전통차농업, 금산 인삼농업, 담양 대나무밭, 하동광양 재첩잡이 손틀어업, 제주해녀어업시스템, 남해 지족해협 죽방렴 어업 시스템, 울진 금강송 산지농업시스템

멕시코(3)

멕시코 시티의 차이남파스 농업 시스템, 유카탄 반도의 마야 밀파, 멕시코 틀락스칼라 산악 지역에서 전통적으로 이어져온 메테판틀레 농업시스템

모로코(3)

아틀라스 산악지역의 오아시스 시스템, 아이트 소압-아이트 만수르 지역의 아르간 농축업 시스템, FiguigKsour: 물과 땅의 사회적 관리를 중심으로 한 오아시스와 목축 문화

방글라데시(1)

플로팅 정원 농업

브라질(2)

남부 에스핀하소 산맥의 전통 농업 시스템, 브라질 파라나 주 아라우카리아 숲에서 그늘에서 재배되는 예르바마테 전통 산림농업시스템,

상투메 프린시페(1)

상투메 프린시페의 코코아 농림 시스템

스리랑카(1)

스리랑카 건조 지역의 연결 탱크 시스템

스페인(6)

악사르끼아 말라가 건포도 생산 시스템, 아냐나의 소금(소금 계곡) 생산 시스템, 센 지역의 고대 올리브 나무 농업 시스템, l'Horta de València의 관개 시스템, 레온 산맥의 농경-목축 시스템, 란사로테 섬의 자블레 지대와 화산 모래 지대에서 이루어지는 전통 농업시스템

아랍에미리트(1)

알 아인과 리와 대추농장

안도라(1)

안도라의 아고산 목초지

알제리(1)

구트 오아시스 시스템

오스트리아(2)

오스트리아 알프스의 전통적인 건초 우유 농사, 하부 오스트리아 발트피어텔지역의 잉어 연못 양식

에콰도르(2)

안딘 차크라시스템, 아그로포레스트리 차크라시스템

이란(6)

카나트 관개농업유산 시스템, 주잔 계곡 포도 시스템, 고나바드 샤프란 관개농업 시스템,, 에스타반 레인페드 무화과 과수원 유산 시스템, 하메단 주 투이세르칸의 전통 호두 농업시스템, 카즈빈 바게스탐의 고대 전통 정원

이집트(1)

시와 오아시스의 대추생산법

인도네시아(1)

발리 카랑가셈의 쌀락 혼농임업 시스템

이탈리아(3)

아시시와 스포레토 사이의 경사지 올리브재배, 소아베 전통 포도농업, 아말피의 레몬 과수원과 계단식 농업 시스템

인도(3)

코라푸트 전통 농업, 쿠타나드 해수면 농업, 카슈미르의 샤프란

일본(17)

노토의 사토야마·사토우미 시스템, 사도섬의 사토야마 농업 시스템, 아소의 초지 관리 농업 시스템, 시즈오카의 전통 차-풀 통합 재배 시스템,구니사키 반도-우사 지역의 통합 산림·농업·어업 시스템, 나가라강 유역의 아유(은어) 전통 어업 시스템, 미나베-다나베 우메(매실) 시스템, 다카치호고-시이바야마 산간 농림 시스템, 오사키 고도의 지속가능한 논농업을 위한 전통 물관리시스템, 니시-아와의 급경사지 농업 시스템, 시즈오카의 전통 와사비 재배 시스템, 비와호-육지 통합 시스템, 야마나시 교토 지역의 과수 재배 시스템, 미카타 지역의 사람과 가축의 조화를 위한 통합 농업 시스템, 도쿄 근교 무사시노 대지의 낙엽 퇴비 산림농업 시스템, 와카야마현 아리다·시모쓰 지역의 석축 감귤 과수원 시스템, 오쿠이즈모 지역 다타라 제철에서 재적응된 지속가능한 물 관리 및 농림축산 시스템

중국(25)

벼논양어, 완넨 전통 쌀 경작, 하니 계단식 농업, 동스 물고기 오리 농법, 푸얼 전통 차 농업, 아오한 건조지 농업, 쿠아지샨 고대 중국 비자나무, 쉬안화 포도 재배와 도시농업시스템, 가헌 중국 전통 대추 농장, 싱화 두샨 농법, 푸저우 자스민티 경작 방법, 중국 절강 호수 뽕나무둑 양어시스템, 뎨부 짜가나 농림축산 복합 시스템, 샤진 고대 황허강 코스 전통 뽕나무 시스템, 중국 남부 산악 구룽성 지역의 계단식 논, 셰셴 드라이랜드 석조 계단식 시스템, Anxi Tieguanyin 차 문화 시스템, 내몽골의 Ar Horqin 초원 유목민 시스템, 저장성 청원림버섯공동배양시스템, 허베이성 관청 전통 밤나무 생태식재 시스템, 저장성 센쥐(XIanju) 고대 중국 왁스베리 복합 시스템, 안후이성 통링 백생강 재배 시스템, 중국 간쑤성 가오란 시촨의 고대 배 과수원 시스템, 중국 저장성 더칭(德清)의 담수 진주조개 복합 어업 시스템, 중국 푸딩의 백차 문화 시스템

칠레(1)

칠로에 농업시스템

케냐(1)

올드뇬오키/올케리 마사이 목축민 유산

타지키스탄(1)

알모시 계곡: 산지 환경에 적응한 통합형 농목축 시스템

탄자니아(2)

엥가레세로 마사이 목축민 유산, 심바주 농림업시스템

태국(1)

탈레 노이 습지 버팔로 목축 농업 생태계

튀니지(3)

가프사 마그레브 오아시스 관개농업, Djebba El Olia의 교수형 정원, Ghar El Melh의 석호에있는 Ramli 농업 시스템

페루(1)

안데스산맥의 농업

포르투갈(2)

바로쏘 농축업 시스템, 세르파 언덕의 몬타두 농림축산 복합 시스템

필리핀(1)

이푸가오 계단식 농업

 

참고3

 

대한민국의 FAO 세계중요농업유산(GIAHS) 등재 현황

세계중요농업유산

지정

년도

면 적

주 요 내 용

제주 밭담농업

2014

54,190ha

화산섬인 제주의 밭담은 돌담을 설치하여 토양소실과 바람을 막고 아름다운 자연경관을 연출

청산도

구들장 관개관리

2014

4,270ha

구들장 논은 돌을 쌓아 만들어진 지하배수로 효과적으로 논의 표면을 보호하기 위해 지하 관개 및 배수 수로를 조성

하동 차 농업

2017

13,425ha

1200년 동안 전통차 재배농법 및 수제차 제작기법을 이어오고 있음

금산

전통인삼 농업

2018

57,570ha

1000년 동안 한국을 대표하는 작물로, 전통적 인삼재배 시설을 수분 증발 및 미세 기후 조절에 효과적인 지식시스템이 전승됨

담양

대나무밭 농업

2020

36.2ha

다양한 생물의 서식지이며 대나무숲은 독특한 농업경관형성, 죽초액과 대나무숯을 활용하여 병충해 방재 및 토양개량 등 전통농법

제주 해녀어업

2023

14,346ha

(제주도 전역)

장치 없이 맨몸으로 잠수해 전복, 소라, 미역 등 해산물을 직업적으로 채취하는 전통적 어업방식으로 불턱, 신당 등 세계적으로 희귀하고 독특한 문화적 가치 존재

하동광양

재첩잡이 손틀어업

2023

140ha

서식환경이 잘 보존된 기수역에서 거랭이 등의 도구를 사용해서 재첩을 채취하는 어법

남해지족해협 죽방렴

어업시스템

2025

537.2ha,

죽방렴 23개소

삼국시대 이래 현재까지 어업인 생계수단으로서 자립으로 운영되고 있는 한반도 유일의 함정어구를 사용한 어로방식으로, 자연의 순리를 거스르지 않는 대표적인 전통적 어업시스템

울진 금강송

산지농업시스템

2025

14,188ha

왕실에서 황장봉산으로 지정 관리, 산림을 보호하기 위해 송계와 산림계를 조직하여 관리, 주변계곡과 기암괴석이 어우러져 아름다운 경관 형성

참고4

 

국가중요어업유산 지정 현황 * 는 세계중요농업유산 등재

연번

유산명칭

특 징

1

(‘15)

제주 해녀어업

해녀들이 특별한 산소 호흡 장치 없이 바다에 잠수하여 해산물을 채취하는 어업

2

(‘15)

보성 뻘배어업

썰물 때 뻘배를 타고 나가 갯벌에 서식하고 있는 꼬막을 채취하는 어업

3

(‘15)

남해 죽방렴어업

좁은 바다의 물목에 대나무로 만든 그물을 설치하여 물고기를 잡는 어업

4

(‘16)

신안 갯벌 천일염업

햇빛과 바람을 이용 자연방식으로 바닷물을 증발시켜 천일염을 생산하는 어업

5

(‘17)

완도 지주식 김 양식어업

갯벌에 지주목을 세우고 발을 설치하여 김을 생산하는 어업

6

(‘18)

무안·신안 갯벌낙지 맨손어업

맨손 또는 낙지잡이 전용 삽인 가래삽을 이용해 낙지를 잡는 어업

7

(‘18)

하동·광양 섬진강재첩잡이 손틀어업

기수역에서 거랭이 등의 도구를 사용해서 재첩을 채취하는 어업

8

(‘20)

통영·거제 견내량 돌미역 트릿대 채취어업

트릿대라는 긴장로 물속의 바위에 붙은 미역을 감아올려 채취하는 어업

9

(‘21)

울진·울릉 돌곽 떼배 채취어업

오동나무 등을 뗏목처럼 엮어 만든 배로 돌곽(돌미역) 채취하는 어업

10

(‘21)

부안 곰소 천일염업

햇빛과 바람을 이용 자연방식으로 바닷물을 증발시켜 천일염을 생산하는 어업

11

(‘21)

신안 흑산 홍어잡이어업

미끼를 사용하지 않는 주낙을 홍어가 다니는 길목에 설치하여 잡는 어업

12

(‘22)

경남 거제 숭어 망쟁이 들망어업

망쟁이가 숭어 떼의 이동 흐름을 읽고, 들망을 이용해 숭어 떼를 가두어 잡는 전통 어업방식

13

(‘23)

진도·신안 조간대 돌미역 채취어업

원시어업 형태로 미역을 밭에서 경작하는 작물로 취급하여 미역밭 갯닦기와 물주기 등 서식지 관리로 미역을 채취하는 어업활동

14

(‘24)

강릉 창경바리어업

창경(窓鏡)’ 이라는 도구를 이용해 수중에서 맑은 시야를 확보하여 해조류 및 저서생물 등을 채취하는 어업

15

(‘24)

광천토굴새우젓 가공업

자체적으로 수분을 생성하는 풍화암 재질로 이루어진 친환경 토굴에서 새우젓을 숙성발효시키는 가공업

16

(‘24)

삼천포 죽방렴 어업

연안의 좁은 물목에 대나무로 만든 ‘V’자형 발을 설치하여 물살의 힘에 실려 오는 물고기를 통 안에 가두어 잡는 어업

 

참고5

 

국가중요농업유산 지정현황 * 는 세계중요농업유산 등재

지정번호

명칭

주요 특징

1(`13)

청산도

구들장 논

급경사로 돌이 많고 물빠짐이 심하여 논농업이 불리한 자연환경에 적응하기 위해 전통 온돌 방식을 도입, 독특한 구들장 방식의 통수로와 논 조성

2(`13)

제주

밭담

, 바람이 많은 척박한 자연환경을 극복하기 위해 밭담을 쌓아 바람과 토양유실 방지, 농업 생물다양성, 수려한 농업경관 형성

3(`14)

구례

산수유 농업

생계 유지를 위해 집과 농경지 주변 등에 산수유를 심어 주변 경관과 어우러지는 아름다운 경관 형성, 다양한 생물 서식지, 시비와 씨 제거 등 전통농법

4(`14)

담양

대나무 밭농업

다양한 생물의 서식지이며 대나무숲은 독특한 농업경관 형성, 죽초액과 대나무숯을 활용하여 병충해 방재 및 토양개량 등 전통농법

5(`15)

금산

인삼농업

인삼재배의 최적지, 재배지 선정, 관리, 재배, 채굴, 가공 등 전통농법 유지, 주변 산과 하천이 어우러지는 경관 형성

6(`15)

하동

전통 차농업

생계유지를 위해 1,200년 동안 전승된 전통적인 농업, 풀비배 등 전통방식의 차 재배 유지, 차밭 주변의 산림과 바위가 어우러지는 독특한 경관 형성

7(‘16)

울진

금강송 산지농업

왕실에서 황장봉산으로 지정 관리, 산림을 보호하기 위해 송계와 산림계를 조직하여 관리, 주변계곡과 기암괴석이 어우러져 아름다운 경관 형성

8(‘17)

부안 유유동

양잠농업시스템

뽕재배에서 누에 사육 등 일괄시스템이 보전관리되고 친환경적 뽕나무 재배, 생물다양성, 주변 산림과 뽕나무밭이 조화된 우수한 경관

9(‘17)

울릉 화산섬

밭농업시스템

급경사지 밭을 일구면서 띠녹지를 조성하여 토양유실 방지하고 주변 산림지역의 유기물을 활용하였으며, 산림과 해안이 어우러지는 패치형태의 독특한 경관

10(‘18)

의성 전통수리

농업시스템

금성면 일대 약 1,500개의 제언을 축조, 각각의 제언은 서로 이어져, 농업용수를 저장활용함으로써 이모작 전환시스템 구축

11(‘18)

보성 전통차

농업시스템

새끼줄을 기준삼아 경사지 등고선에 따라 간격과 수평을 맞추는 계단식 차밭 조성 기술과 경관 형성

12(‘18)

장흥 발효차

청태전 농업시스템

반음반양의 차 재배환경 조성 및 친환경 농법, 발효차 전통 제다 지식체계, 굽는 과정이 추가되는 독특한 청태전 음다법 등 구축전승

13(‘19)

완주 생강 전통농업시스템

겨울철 생강종자 보관을 위해 토굴을 활용한 저장시스템으로 농가의 아궁이 열을 이용한 온돌 방식, 수직강하 방식 등이 있음

14(‘19)

고성 해안지역

둠벙 관개시스템

농업용수 공급을 위해 둠벙을 조성하고 활용하여 빗물이 바다로 빠져나가는 해안지역의 자연적 특성 극복

15(‘19)

상주

전통곶감농업

상주둥시전통 품종보전을 통한 감 재배 적지선정·관리·가공 등 곶감의 전통적 방식 계승

16(‘21)

강진 연방죽

생태순환 수로 농업시스템

16개의 연방죽과 200여개의 둠벙, ‘병영성과 수로 등 독특한 하멜식 물순환 수리체계 보전, 한들평야와 연방죽의 특별한 경관 형성

17(‘22)

창원

독뫼 감 농업

100년 이상된 지역 고유의 떪은 감에 단감을 접붙인 형태로 감 농업을 사회 환경의 변화에 맞추어 현재까지 보전계승발전

18(‘22)

서천 한산모시 전통농업

고려시대부터 현재까지 100% 수작업으로 진행되는 모시재배부터 모시짜기 전 과정이 현재까지 전승발전

19(‘24)

청양 구기자

전통농업

농경지가 적은 불리한 농업환경을 극복하기 위해 자투리 땅을 이용하여 전통적인 삽목기술로 구기자를 연 2회 수확해 청양 주민의 생계 유지에 기여

* 자료 : 해양수산부 보도자료(2025. 11. 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