멸치, 숭어 | |||
![]() |
수산물안전정보서비스 | ![]() |
2025-04-16 06:17:03 |
04월 수산물소개‘멸치’멸치는 청어목 멸치과에 속하는 어류로 우리나라 전 연안, 일본 전 연안, 중국 연안에 분포한다. 몸은 다소 긴 원통형이며, 주둥이는 돌출되어 있다. 입은 약간 아래쪽으로 향하고 위턱이 아래턱보다 길다. 입은 눈보다도 훨씬 뒤쪽까지 위치하며, 눈에는 기름눈까풀이 있다. 양 턱에는 1줄의 작은 이빨이 있다. 등지느러미는 몸의 거의 중앙에 위치하고, 가슴지느러미는 배쪽에 가깝게 위치한다. 배지느러미는 등지느러미보다 앞쪽에서 시작하며, 뒷지느러미는 등지느러미보다 뒤쪽에 위치한다. 배쪽 가장자리에는 모비늘이 없다. 몸에는 옆줄이 없다. 봄에 발생된 무리는 발생 후 1개월에 체장 3cm내외, 여름에 5∼7cm, 가을에 8∼10cm로 자라며, 다음 해 봄이 되면 체장 11∼13cm로 자라 산란하러 연안으로 몰려오며, 가을에 발생된 무리는 다음해 가을에 체장 11∼12cm로 자라 산란에 참가한다. 크기에 따라 자멸, 소멸, 중멸, 대멸이라 구분하기도 하는데 보통 자멸에서 중멸까지는 반찬용으로 많이 쓰이고, 대멸은 국물용으로 많이 사용된다. 멸치의 수명은 1년 반이며, 봄에 연안의 내만에 들어 왔다가 가을에 남쪽 바깥 바다로 이동하여 겨울철을 보내고 봄에 연안으로 들어온다. 먹이는 플랑크톤 식성으로 요각류를 주로 먹으며, 그 외 새우류의 유생, 규조류, 조개유생 등을 먹는다. 몸 빛깔은 등쪽은 짙은 청색, 배쪽은 흰색이며, 옆구리에는 은백색의 세로줄이 있다. 뼈째 먹는 생선인 멸치는 칼슘 함량이 타 어종에 비해 높아 ‘칼슘의 왕’이라고 불린다. 멸치에는 뼈 형성에 필수적인 성분인 핵산과 각종 단백질, 아미노산이 풍부하므로 성장기 어린이에게 특히 좋은 식품이며, 골다공증 예방에도 많은 도움이 된다. 멸치는 간장과 물엿을 넣고 고소하게 볶아 밥반찬으로 만들 수도 있고, 육수를 내거나 액젓으로 만들어 음식의 감칠맛을 더하는 등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생멸치 요리로는 멸치구이, 멸치회무침, 멸치찌개, 멸치 쌈밥 등이 있으며, 생멸치로 멸치젓을 담그기도 한다. 마른 멸치는 주로 볶아서 밑반찬으로 먹는다. * 자료 : 해양수산부 보도자료_4월의 수산물, 어촌여행지, 해양생물, 등대, 무인도서 선정(2025.4.1.), 국립수산과학원 수산생명자원정보센터(2025. 4. 2, 검색), 국립생명자원관_한반도의 생물다양성(2025. 4. 2, 검색), 참조. ‘숭어’숭어는 우리나라 전 연안, 일본, 중국, 세계의 온대 및 열대에서 잡히는 어종으로 바닥의 모래나 진흙 속의 유기물을 먹고 자라며, 밀물 때는 물 위로 올라와 미세조류 등도 먹는다. 몸은 가늘고 긴 측편형이나 머리는 다소 납작한 편이다. 입은 작고 위턱은 아래턱보다 약간 길며, 양 턱에는 세 갈래로 나뉜 이빨이 있다. 눈에는 기름눈까풀이 발달하고, 옆줄은 없다. 각 비늘의 중앙에는 흑색 반점이 있어 여러 줄의 작은 세로줄이 있는 것처럼 보인다. 산란기가 되면 수심이 깊은 바다로 산란회유를 하고 어린 시기에는 연안에서부터 담수역까지 서식하다가 체장 25cm 내외로 자라면 바다로 내려간다. 산란기인 10∼12월에 외양으로 나가고 봄이 되면 연안으로 이동한다. 먹이는 바닥의 모래나 진흙속의 유기물을 섭이하며, 밀물 때는 표층에서 미세조류 등을 먹는다. 몸 빛깔은 등쪽은 회청색, 배쪽은 은백색이고, 가슴지느러미 기저에 청색의 반점이 있다. 숭어는 보리 이삭이 패는 시기인 4월에서 5월 사이에 주로 잡히는데, 이 시기의 숭어는 특히 맛이 좋아 ‘보리숭어’라는 이름으로 불리며 임금님의 수라상에도 자주 올랐다고 전해진다. 숭어는 동의보감에서 ‘위를 편안하게 하고 오장을 다스리는 식품’으로 언급했을 만큼 영양분을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으며, 특히 철분 함량이 높아 빈혈 예방에 효과적인 식품이다. 숭어는 육질이 탄탄하고 고소하여 회로 즐겨 먹지만, 매운탕이나 튀김·구이로 요리해도 특유의 맛을 즐길 수 있다. 숭어의 알은 어란을 만들기도 한다. 산란 직전의 가숭어 알로 만든 어란은 임금님 수라상에 진상된 귀한 음식이다. 숭어 어란은 염장-건조-압축-재건조 등 여러 과정을 거쳐 만들어지며 생산량이 많지 않았다.
* 자료 : 해양수산부 보도자료_4월의 수산물, 어촌여행지, 해양생물, 등대, 무인도서 선정(2025.4.1.), 국립수산과학원 수산생명자원정보센터(2025. 4. 2, 검색), 참조. |
|||
<< 다음글 :: 수산자원보호 직불제 참여를 도와드립니다!
경북도, '수산물 꾸러미' 사업으로 산불피해 극복한다 :: 이전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