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업인 삶의 질 개선을 위해 정부·민간·공공부문 힘 모은다. | ||||||||||||||||||||||||||||||||||||||||||||||||||||||||||||||||||||||||||||||||
![]() |
수산물안전정보서비스 | ![]() |
2025-04-16 06:22:09 | |||||||||||||||||||||||||||||||||||||||||||||||||||||||||||||||||||||||||||||
정책정보
어업인 삶의 질 개선을 위해 정부·민간·공공부문 힘 모은다. - 어업인 대상 복지서비스 제공, 어복버스 사업 추진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 - 섬에 비대면 진료 및 이미용·목욕 서비스 제공, 어촌에 방문 의료 및 노무·세무 교육 제공 해양수산부(장관 강도형)는 섬·어촌 지역 어업인을 대상으로 어(촌)복(지)버스 사업*을 추진하기 위해 3월 26일(수) 서울가든호텔에서 유관 공공기관, 기업 및 단체 등 7개 기관 대표와 업무협약*을 체결한다고 밝혔다. * 대·중소기업·농어업협력재단, ㈜LG유플러스, HK이노엔㈜, 부산항만공사, 한국어촌어항공단, 한국해양수산개발원, (사)한국연안어업인중앙연합회 ‘어복버스 사업’은 도시로 이동하기 불편한 섬 지역 어업인들에게 원격 진료와 이·미용 및 목욕 서비스를 제공하고, 어촌 지역 어업인들에게 직업성 질환에 대한 건강 관리 및 노무·세무 행정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이다. 이번에 업무협약을 체결하는 당사자들은 사업 총괄(해양수산부), 농어촌상생기금지원(협력재단), 기금 출연 및 현물지원(HK이노엔㈜), ㈜LG유플러스, 부산항만공사, 한국어촌어항공단), 컨설팅 및 사업평가(한국해양수산개발원), 사업수행((사)한국연안어업인중앙연합회)을 각각 담당한다. 강도형 해양수산부 장관은 “어업인 삶의 질 개선을 위해 민·관·공이 힘을 합친 이번 어복버스 사업은 재원과 운영 측면에 민간과 공공 영역이 자발적으로 참여했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크다.”라며, “앞으로도 살고 싶은 어촌을 만들기 위해서 일상생활의 불편 해소는 물론 보편적 사회복지서비스 제공에 사각지대가 없는지 세밀하게 살피고 촘촘하게 지원해 나가겠다”라고 말했다.
□ 행사 개요 ㅇ (목적) ’25년 어복버스 사업 추진을 위한 관계기관 간 업무협약* * 농어촌상생협력기금 관련 규정에 따라 기관 간 협력 내용 및 역할 등을 명시하여 협약 체결 ㅇ (일시·장소) ’25.3.26(수)16:40~19:00 / 서울가든호텔(서울 마포구) ㅇ (참석자) 해양수산부(차관님), HK이노엔(주) 대표이사, ㈜LG유플러스 대표이사(미정),한국어촌어항공단 이사장, 한국해양수산개발원 원장 직무대행, 대·중소기업·농어업협력재단 본부장, 부산항만공사 운영본부장, 한국연안어업인중앙연합회장 ㅇ (주요내용) 어복버스 사업 자금출연 및 협력 등 사업수행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 관계기관 기념 만찬 □ 행사 일정
* 사업 참여 8개 기관 모두 동일 협약서에 서명
□ 목 적 ㅇ지리적 특성으로 인해 도심 이동에 불편이 있는 섬·어촌 어업인을 대상으로 의료·생활·행정서비스를 지원하여 삶의 질 개선 □ 사업 개요 ㅇ(사업명) 2025년 어복버스 사업 ㅇ(사업대상) 전국 유인도서 200개소, 어촌계 100개소, 수협 45개소 * 전국 유인도서 434개 중 200여개(보건소×), 전국 어촌계 2,067개소의 약 5% 100개소, 전국 수협 90개소의 50% ㅇ(사업기간) ’25.3월 ~ 12월(약 10개월간) ㅇ(수혜대상) 섬·어촌에 거주하고 있는 어업인 누구나 ㅇ(참여기관) 해양수산부, 한국해양수산개발원, 대·중소기업·농어업협력재단, 한국어촌어항공단, 부산항만공사, 어업안전보건센터, (사)한국연안어업인중앙연합회, HK이노엔㈜, ㈜LG유플러스 등 ㅇ(사업내용) 섬·어촌지역 대상 의료·생활·행정서비스 제공
□ 전년 비교
□ 어복버스 개념 □ 어복버스 서비스 설명 * 자료 : 해양수산부 보도자료(2025. 03. 26.) |
||||||||||||||||||||||||||||||||||||||||||||||||||||||||||||||||||||||||||||||||
<< 다음글 :: 해양수산 유망 창업기업 보육
Fast-Track을 통한 빠른 해양수산 입법 :: 이전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