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해외] 중국, 일본산 수산물 무역 재개 후 몇 주 만에 재금지 위협 | |||
![]() |
수산물안전정보서비스 |
![]() |
2025-11-25 03:07:25 |
|
약 2년 만에 중국으로 홋카이도산 가리비가 수출되기 시작한 지 불과 몇 주 만에, 중국은 다시 일본산 수산물 수입을 다시 전면 금지한 것으로 알려졌다. 교도통신(Kyodo News)은 일본 총리 다카이치 사나에(Sanae Takaichi)의 대만 관련 발언으로 양국 간 정치적 긴장이 고조되면서, 중국이 최근 해제했던 일본산 수산물 수입 중단 조치를 다시 시행했다고 정부 소식통을 인용해 보도했다. 다카이치 총리는 최근 중국의 대만 군사 공격이 일본에 “생존을 위협하는 상황”이 될 수 있다고 언급해 중국의 강한 반발을 불러일으켰고, 이는 다시 수산물 수입 금지 위협으로 이어졌다. 매체에 따르면, 일본 기시다 내각의 기하라 미노루(Minoru Kihara) 관방장관은 재차 금지 조치의 존재를 부인한 반면, 중국 외교부 대변인 마오 닝(Mao Ning)은 일본산 수산물이 중국에 수입되기 위해 필요한 서류를 일본이 아직 충분히 제출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마오 대변인은 또한 다카이치 총리의 발언이 “강한 대중적 공분”을 촉발했으며, 설령 일본산 수산물이 중국으로 들어온다 하더라도 “시장 자체가 존재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일본이 추가 조치를 피하려면 해당 발언을 철회해야 한다고 강조하며, “일본은 우선 그 잘못된 발언을 철회하고, 중일 관계의 정치적 기반을 지키기 위한 구체적 조치를 취해야 한다. 그렇지 않다면 중국은 추가적인 조치를 취할 수밖에 없다”고 밝혔다. 교도통신은 중국과 일본의 고위급 협의에서도 문제 해결의 실마리를 찾지 못했다고 전했다. 이번 재압박과 잠재적 금수 조치는 일본 수산업이 수년간 겪어온 긴 여정의 또 다른 장을 더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 2011년 동일본 대지진과 그로 인해 발생한 후쿠시마 제1원전 사고 이후 여러 국가가 일본산 수산물에 대해 금수 조치를 시행했다. 한국은 오염 냉각수의 해양 방출 결정에 따라 2013년 9월부터 금지를 시행했고, 그 조치는 수년간 이어졌으며 일본이 세계무역기구(WTO)에 제소하면서 2017년 쟁점이 되기도 했다. 대만 또한 2011년 방사능 우려를 이유로 일본산 수산물 수입을 금지했으며, 일부 지역의 식품에 대한 금수 조치를 2022년이 되어서야 대부분 해제했다. 중국 역시 일본산 수산물에 대한 금수 조치를 유지해 왔고, 후쿠시마·군마·이바라키·도치기·미야기·나가노·사이타마·도쿄·지바 등 9개 현산 수산물로 그 범위를 좁혔었다. 그러나 2023년 도쿄전력(TEPCO, Tokyo Electric Power Company Holdings)이 처리된 오염수를 방출하기로 결정하자, 중국은 일본 전체의 수산물 수입을 전면 금지했다. 그 관계는 2024년 9월경부터 회복 조짐을 보였으며, 양국은 점진적으로 무역 재개를 추진하여 2025년 11월 초 일본산 수산물의 첫 대중국 수출이 이뤄졌으나, 또다시 금수 위협에 직면하게 되었다. [츨처] Seafood Source 2025/11/20 [원문] |
|||
|
<< 다음글 :: [해외] 미국 상업어업 단체들, USDA의 신규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