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하, 전어
출처
출처
수산물안전정보서비스

09월  수산물소개

‘대하’

대하(大蝦)는 말 그대로 클 대(), 새우 하()큰 새우라는 말이다. 우리나라에서 서식하는 새우는 약 90여 종이 있는데, 바다에서 서식하는 새우는 보리새우, 대하, 꽃새우, 젖새우, 도화새우 등이 있다.

 

전 세계적으로 우리나라와 중국의 한정된 지역에서 분포하는데, 주로 깊은 바다에 살다가 산란기에 연안으로 이동한다. 대하는 야행성이며 1년생이다.

 

가을철에 많이 잡히는 대하는 양식산 흰다리새우와 생김새가 비슷하여 혼동하기 쉽지만, 뿔이 코끝보다 길게 나오고 몸통보다 수염이 길며 꼬리가 초록빛을 띠는 특징이 있다.

 

제철을 맞은 대하는 소금구이, 튀김, , 회 등으로 즐길 수 있으며, 요리 후 남은 머리는 버터구이로 해 먹으니 버릴 것이 없다. 대하는 고단백 저지방 수산물이며, 아르기닌이 풍부해 근육 형성과 면역력 향상에 좋고, 고혈압과 당뇨 예방에 도움이 된다.

 

대하는 십각목 보리새우과에 속하는 해산 갑각류이다. 갑각의 최대 길이는 수컷 42mm, 암컷 55mm가량이다. 몸 색깔은 다소 투명하고 미세한 흑갈색 점들이 흩어져 있으며 약간 붉은 기운이 돈다.

 

이마뿔은 좁고 수평이며 더듬이비늘의 끝을 넘으며 7~8개의 윗가시와 2~5개의 아랫가시가 있다. 위 윗가시와 이마뿔 맨 뒷가시의 간격은 다른 이마뿔가시들의 간격보다 멀다. 이마뿔옆홈은 길어서 거의 갑각의 뒷가장자리에 이른다. 이마뿔뒷마루는 갑각의 절반에 이르지 못하고, 이마뿔옆마루는 갑각의 약 2/5 지점에 닿는다.

 

갑각에는 두드러진 더듬이윗가시와 간가시가 있다. 위눈구멍마루는 뚜렷하며 간가시와 눈구멍 가장자리 사이의 앞쪽 3/5까지 뻗어 있다. 더듬이윗마루는 잘 나타나며, 간마루는 선명하지 않지만 간홈은 뚜렷하고, 목마루는 좁다.

  



대하

 

* 자료 : 해양수산부 보도자료, 9월의 수산물, 어촌여행지, 해양생물, 등대, 해양유물, 무인도서 선정(2024. 8. 30), 국립수산과학원, 어맛진수-대하(2020.10.08), 국립생물자원관_한반도의 생물다양성, 대하(2024.08.30., 검색), 참조


‘전어’

전어는 제철을 맞아 듬뿍 오른 지방의 고소한 맛이 일품으로 구워 먹어도 맛있고, 회로 먹어도 맛있는 가을철 대표 별미다.

 

전어는 필수아미노산과 오메가-3 지방산이 풍부한데, 필수아미노산은 간 기능 개선과 기력회복에 좋으며 ,오메가-3 지방산(EPA, DHA)은 심혈관계 질환 예방과 두뇌 발달에 도움이 된다.

 

청어목 청어과에 속하는 어류이다. 몸길이가 20~30cm가량으로 몸은 옆으로 납작하며, 등은 검푸르고 배는 은백색이다. 등지느러미를 이루는 연한 뼈인 연조의 마지막 것은 길게 자란다. 아가미뚜껑 뒤에는 검은 점이 1개 있다.

 

연안에서 무리 지어 서식하며 강 하구까지 들어와 서식하고 봄에 부유성 알을 낳는다. 우리나라 전 연안에 분포하며, 일본, 동중국해, 남중국해 등에도 분포한다.

 

주로 38(산란성기 45)에 산란을 한다. 산란수온은 1525이며, 일몰후 12시간내에 산란을 한다. 최소 성숙연령은 1년이다.

 

전어의 생김새는 눈 주위를 기름눈꺼풀이 덮고 있지만, 동공에는 홈이 있어 노출되어 있다. 입은 비스듬히 경사지며 위턱의 뒤끝은 눈앞 가장자리를 지난다. 새개골의 가장자리는 완만한 형태이다.

 

등지느러미는 몸의 중앙에 위치하며 기저의 길이가 짧고 마지막 연조가 매우 길게 연장되어 꼬리지느러미 근처에까지 뻗어 있다. 가슴지느러미는 배쪽에 치우쳐 있고, 배지느러미는 등지느러미 기저의 중앙 아래에 위치한다.

 

머리 뒤끝에서부터 뒷지느러미 기부에 이르기까지 몸의 배쪽 정중선을 따라 수십 개의 날카로운 모비늘이 있다.

 

몸은 비교적 큰 둥근비늘로 덮여 있으며 탈락되기 쉽고, 머리에는 비늘이 없다. 주둥이 앞 부분에는 2쌍의 비공이 위치하며 경계 지점에는 얇은 막이 있다.

  



전어

 

* 자료 : 해양수산부 보도자료, 9월의 수산물, 어촌여행지, 해양생물, 등대, 해양유물, 무인도서 선정(2024. 8. 30), 국립수산과학원 수산생물자원정보센터_전어(2024.08.30., 검색), 국립생물자원관_한반도의 생물다양성, 전어(2024.08.30., 검색),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