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리집 로고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복어, 전문가가 조리한 것만 드세요
출처
출처
수산물안전정보서비스
작성일
작성일
2025-05-15 05:09:38
 
안전정보
 

복어, 전문가가 조리한 것만 드세요

- 복어는 반드시 조리 자격을 취득한 전문가가 조리했는지 확인 후 섭취

- 복어요리 섭취 후 손발 저림, 운동 불능, 호흡곤란 시 즉시 병원 치료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는 복어는 조리자격이 없는 자가 조리해서는 아니되며 복어 요리를 먹을 때는 반드시 관련 자격을 취득한 전문가가 조리한 복어인지 확인하고 섭취해 줄 것을 당부했다.

 

최근 시장에서 구매한 복어를 조리 자격이 없는 일반인이 조리·섭취한 후 식중독*이 발생했으며, 과거에도 온라인에 공유된 복어 손질법을 따라 조리·섭취하는 등 복어독에 의한 식중독이 지속 발생하고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 생물 복어를 시장에서 구매 후 조리하여 섭취한 3명 마비증상으로 병원 이송(4.19.)

 

복어의 알과 내장 등에는 신경독소인 테트로도톡신(Tetrodotoxin)이 함유되어 있는데 이 독소에 중독되면 구토, 신경마비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심한 경우 사망할 수도 있다.

 

* 최근 20년간(’05~’24) 복어독 식중독 사례 : 13, 47명 환자 발생

 

복어는 전 세계적으로 약 120여 종이 있으며, 우리나라에서 식용으로 허용된 복어는 참복, 검복 등 21종으로 전문 자격이 없는 일반인은 식용복어를 구분하기 어렵다.

 

따라서 복어 손질 시 전문지식을 바탕으로 혈액, 안구, 아가미 등과 내장을 제거해야 하므로 반드시 복어 조리 자격이 있는 전문가가 취급해야 한다. 다만, 복어 조리 자격을 가진 자가 전()처리한 후 유통하는 복어는 복어 조리 자격이 없는 일반인도 조리할 수 있다.

 

소비자는 복어를 조리한 음식을 먹고 손발 저림, 현기증, 두통, 운동 불능, 호흡곤란 등의 증상이 발생하는 때에는 즉시 병원에서 치료를 받아야 한다.

 

식약처는 앞으로도 식중독 예방을 위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여 국민이 안심하고 식품을 소비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예정이다.

 

<붙임> 1. 복어독 개요

2. 식용가능한 복어 종류

 

붙임1

 

복어독 개요

복어독(Tetrodotoxin, 테트로도톡신) 이란 ?

복어의 난소(), , 피부, 내장 등에 많이 들어있는 자연 독소, 신경과 근육의 세포막 표면의 나트륨 통로를 선택적으로 차단하여 근육을 마비시킴

- 복어의 종류와 계절에 따라 복어독의 함유량이 달라지며, 내열성이 강하여 보통의 조리 가열로는 파괴(불활화)되지 않음

- 무색, 무취, 무미로 존재 여부를 관능적으로 감지할 수 없음

독성 : LD50*8.0~10.0 /kg강독성 물질로 사람에게 최소 치사량은 2 mg, 최소 중독량은 0.2 mg

* LD50(lethal dose 50, 반수치사량) : 실험동물에 실험대상 물질을 투여할 때 실험동물의 절반이 죽게 되는 양

주요 증상

- 전형적인 신경독으로 증상이 심할수록 잠복기가 짧음(30~6시간)

<1단계> 20~3시간 내에 입술, 혀끝, 손끝이 저리고 두통, 복통, 구토

<2단계> 불완전 운동마비의 상태가 되어 지각마비, 언어장애, 혈압이 떨어짐

<3단계> 완전 운동마비 상태로 운동 불능의 상태인 호흡곤란이 나타남

<4단계> 전신마비가 보이면서 의식을 잃고, 호흡과 심장박동이 정지함

치료 방법

- 복어를 먹고 의식이 분명한 상황에서 침흘리기, 두통, 마비증상이 느껴지면 토해내는 것이 좋음

- 해독제는 아직 보고되지 않고 있으며, 빠른 이송과 응급처치(기도 확보 ) 24~48시간 동안 인공호흡기, 혈압 유지 등 증상에 대한 보존적 치료 시행이 필요

 

기준 : 육질, 껍질에서 각각 복어독 10 MU/g 이하여야 하며, 식용 가능한 복어의 종류 21종을 정하고 있음(붙임2)

* MU(Mouse Unit) : 1MU20g의 생쥐를 30분 이내에 죽일 수 있는 독량

붙임2

 

식용 가능한 복어 종류

식용 가능한 복어 종류(21)

연번

명 칭

학 명

1

복섬

Takifugu niphobles, Takifugu alboplumbeus

2

흰점복

Takifugu poecilonotus, Takifugu flavipterus

3

졸복

Takifugu pardalis

4

매리복

Takifugu snyderi

5

검복

Takifugu porphyreus

6

황복

Takifugu obscurus

7

눈불개복

Takifugu chrysops

8

자주복

Takifugu rubripes

9

참복

Takifugu chinensis

10

까치복

Takifugu xanthopterus

11

민밀복

Lagocephalus inermis

12

은밀복

Lagocephalus wheeleri, Lagocephalus spadiceus

13

흑밀복

Lagocephalus gloveri, Lagocephalus cheesemanii

14

불룩복

Sphoeroides pachygaster

15

황점복

Takifugu flavidus

16

강담복

ChiLomycterus affinis, ChiLomycterus reticulatus

17

가시복

Diodon holocanthus

18

리투로가시복

Diodon liturosus

19

잔점박이가시복

Diodon hystrix

20

거북복

Ostracion immaculatus

21

까칠복

Takifugu stictonotus

(출처 : 식약처 고시식품의 기준 및 규격)

 

* 자료 : 식품의약품안전처 보도참고자료(2025. 4.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