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리집 로고 이 누리집은 국립수산물품질관리원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해파리 위기경보 발령 해제
출처
출처
수산물안전정보서비스
작성일
작성일
2025-11-18 03:21:46
   
정책정보
 

해파리 위기경보 발령 해제

- 전남 남해 앞바다, 부산·경남 남해 앞바다, 울산·경북 동해 앞바다 해파리 특보 전면 해제

 

해양수산부(장관 전재수)1028() 16시부로 해파리 위기경보 발령을 해제한다고 밝혔다.

* 해파리 대량발생 위기경보 단계 : 관심 주의 경계 심각

이는 국립수산과학원이 전남 남해 앞바다, 부산·경남 남해 앞바다, 울산·경북 동해 앞바다에 발표한 해파리 특보를 1028() 16시부로 전면 해제한 것에 따른 조치이다.

 

올해 해파리 위기경보는 국립수산과학원의 특보 발표에 따라 64관심단계 발령을 시작으로, 69일에는 주의단계로 상향, 728일에는 경계단계로 상향하여 발령하였다. 이후, 점차 해파리 출현량이 적어지면서 929일 해파리 위기경보를 주의단계로 하향 발령하였으며, 1020일 주간의 해파리 모니터링 결과 해파리 출현이 현저하게 줄어들어 1028() 16시부로 해파리 특보 및 위기경보 발령을 해제하였다.

 

올해 해파리 특보는 9개 권역 해역 중 3개 해역*에서 발표되었으며, 해파리 특보 및 위기경보 발령 기간은 64일부터 1028일까지 총 147일간 유지되어 전년(148)보다 1일 짧았다. 다만, 올해 2~3월 저수온으로(-1.6~2.2) 인해 특보 발령 시기는 8일 늦었으며, 해제는 7일 늦었다.

* 부산·경남 남해 앞바다, 전남 남해 앞바다, 울산·경북 동해 앞바다

우리나라 해역에서 자생하는 보름달물해파리는 작년과 출현 동향이 유사하였으나, 외해 유입종인 노무라입깃해파리는 발생 기원지인 중국 해역에서 유체 발생량이 적어 전년 대비 매우 낮은 수준으로 출현하였다.

 

해양수산부는 해파리 대량발생 대응 지침과 해파리 어업피해 방지대책에 따라 상황실과 중앙사고수습본부를 운영하여 해파리 특보가 발표된 지역의 해파리 출현 및 대응 상황을 지속 관찰하고, 관련 정보를 어업인과 국민에게 신속하게 제공하였다. 아울러 올해 약 16억 원의 예산을 투입해 3,779톤의 해파리를 제거하였다.

 

전재수 해양수산부 장관은 최근 기후변화에 따라 해파리 대량출현 시기가 불확실하고 독성해파리 유입도 증가하고 있다.”라며, “내년에도 해파리 피해 방지 최소화를 위해 대응 지침을 철저히 점검하고 관련 피해방지 대책도 적극 수립하여 시행해 나가겠다.”라고 말했다.

* 자료 : 해양수산부 보도자료(2025. 10. 28.)


첨부파일
첨부파일
붙임.hw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