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림수산검역검사본부(본부장 박용호)는 최근 4년간(‘09~’12) 국내산 및 수입산 수산물의 중금속 검사 결과를 바탕으로 위해성을 평가한 결과, 우리나라 국민이 수산물 섭취를 통하여 중금속에 노출되는 양이 안전한 수준이라고 밝혔다.
중금속의 경우 오염원에서 일반 환경으로 배출, 최종 수계로 유입되어 먹이사슬을 통해 수산물에 축적되고, 장기간 잔류할 개연성이 높기에 수산물 오염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서 우선 대상물질로 선정하여 위해성을 평가하였다.
※대상 중금속 : 체내 축정성이 높아 인체에 위해정도가 높으며, 수산물에 중금속 기준이 설정되어 있는 총수은, 납, 카드뮴을 선정
이번 평가는 최근 4년간 검사한 국내산 및 수입산 수산물의 중금속 정밀검사 시험 결과를 종합정리하였으며,
함유량은 총수은 21,987건, 납 24,430건, 카드뮴 12,380건에 대하여 수산물 내 중금속 잔류 수준을 파악하였고
인체 노출량의 경우 함유량과 수산물 일일섭취량을 바탕으로 산출하였으며, 위해 여부는 세계보건기구(WHO)유엔식량농업기구(FAO) 합동 식품첨가물 전문가위원회(JECFA)의 위해평가기준인 잠정주간섭취한계량(PTWI)와 비교 평가하였다.
※PTW(M)I(잠정주간(월간)섭취한계량) : 일생동안 섭취하여도 건강상 유해한 작용을 일으키지 않는다고 판단되는 체중 1kg당 주간(월간) 섭취한계량
국내산 및 수입산 수산물 중 총수은, 납 및 카드뮴 함유량 및 인체노출량을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 총수은 】
(인체독성) 일본에서 발생한 미나마타병의 원인 물질로 알려져 있으며, 중독이 되면 주로 신경계에 이상 및 언어장애운동장애사지마비뇌기능 손상 등으로 사망할 수 있다.
(함유량) 국내산 및 수입산 수산물 중 총수은 함유량은 각각 평균 0.029, 0.076mg/kg으로, 우리나라 기준(0.5mg/kg 이하) 대비 각각 5.9, 15.2%로 안전한 수준이었다.
(노출량) 우리나라 국민이 국내산 및 수입산 수산물 섭취를 통한 총수은의 인체노출량은 각각 0.25, 0.68μg/kg b.w./week로서 PTWI 4대비 각각 6.2, 16.9% 수준으로 이들 수산물 섭취를 통한 총수은의 건강상 안전성에 문제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PTWI는 체중 60kg 성인이 평생 섭취하여도 인체에 무해한 1주간 섭취한계량(총수은 4μg/kg b.w.(체중)/week)으로 PTWI 대비 총수은 인체노출량이 100%를 넘지 않으면 섭취하여도 위해하지 않다고 판단할 수 있는 기준
【 납 】
(인체독성) 인체에 흡수된 납은 뼈와 치아를 비롯하여 간, 신장, 근육, 신경 등의 신체조직에 축적되어 기능장해, 팔, 다리, 관절 등의 통증 및 근육마비 증상이 발생하게 된다.
(함유량) 국내산 및 수입산 수산물 중 납 함유량은 각각 평균 0.056, 0.065mg/kg으로, 우리나라 기준(어류 0.5mg/kg 이하) 대비 각각 11.2, 12.9%로 안전한 수준이었다.
(노출량) 우리나라 국민이 국내산 및 수입수산물 섭취를 통한 납의 인체노출량은 각각 0.31, 0.30μg/kg b.w./week로서 PTWI 25 대비 각각 1.3, 1.2% 수준으로 이들 수산물 섭취를 통한 납의 건강상 안전성에 문제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카드뮴 】
(인체독성) 일본에서 발생한 이타이이타이병의 원인물질로 알려져 있으며, 허리, 어깨, 무릎 등 온몸에 통증이 있으며, 약간의 충격만 받아도 뼈가 쉽게 부러지고 심하면 사망하게 된다.
(함유량) 국내산 및 수입산 수산물 중 카드뮴 함유량은 각각 평균 0.127, 0.387mg/kg으로 우리나라 기준(2.0mg/kg 이하) 대비 각각 6.4, 19.3%로 안전한 수준이었다.
(노출량) 우리나라 국민이 국내산 및 수입 수산물 섭취를 통한 카드뮴의 인체노출량은 각각 0.85, 2.00μg/kg b.w./month로서 PTMI 25 대비 각각 3.4, 8.0% 수준으로 이들 수산물 섭취를 통한 카드뮴의 건강상 안전성에 문제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JECFA에서는 카드뮴에 대한 위해평가기준으로서 PTMI를 제시하고 있음
농림수산검역검사본부는 향후 국민에게 안전한 수산물 공급 및 정확한 위해 정보 전달을 위하여 중금속 이외 유해물질(PCBs, 벤조피렌, 메틸수은 등)에 대한 평가를 추가하여 수행할 계획으로,
이들 정보는 홈페이지(https://www.qia.go.kr)를 통해 공개할 것이라고 밝혔다.
자료출처 : 농림수산식품부, 2013년 2월 3일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