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리집 로고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일본] 대체 단백질 시장 2030년에 20% 증가 및 배양 어육 시장화도 후지경제가 전망
출처
출처
수산물안전정보서비스
작성일
작성일
2025-05-07 04:25:04

시장조사회사인 후지경제(도쿄도)는 지속가능 식품과 관련 장비의 시장 규모를 조사하여 배양 어육과 미세조류를 포함한 대체 단백질 식품의 일본 국내 시장 규모를 20241,239억 엔, 2030년은 2024년 대비 18.9% 증가한 1,473억 엔으로 예측했다.

 

폐쇄순환식 육상양식시스템(RAS)을 포함한 제조장치와 시스템은 2024209억 엔, 30337억 엔. 에코 용기 식품은 20249,498억 엔, 2030년에 11,925억 엔. 특수 급속 냉동기는 202488억 엔, 2030150억 엔으로 각각 확대를 예측했다.

 

대체 단백 식품으로서 대체육, 대체유, 대체 어패류, 대체란과 배양육, 배양 어육, 곤충·곤충 사료, 미세조류 등의 10개 품목, 에코 용기 식품 3개 품목, 인증 식품 2개 품목, RAS와 식물공장, 관련 제조 장치와 시스템 6개 품목, 소비·유통에 관한 기기 4개 품목에 대해 시장 규모를 조사했다.

 

미세조류는 2024년 시장 규모가 134억 엔, 2030198억 엔으로 예측. 미세조류는 건강식품이 주체이지만, 2024년은 주요 메이커에 의한 가공식품의 메이저 브랜드와의 콜라보레이션이나 신상품의 적극적인 투입에 의해 일상 식품으로서 이용할 수 있는 상품이 신장되었다. 2025년은 오사카·간사이 박람회에서의 전개와 주요 메이커의 계발 활동의 진전에 의해 신장이 계속될 것으로 보았다.

 

미세조류 배양 장치는 2024년을 판매 수량 10, 전년 대비 42.9% 증가한 3억 엔. 2030년 판매 수량 20, 2024년 대비 17.8% 증가한 8억 엔으로 예측했다. 주로 옥외 인공 연못이나 수영장 등에서 배양하는 오픈 본드형과 밀폐 탱크나 유리 용기에서 배양하는 폐쇄형으로 대별되며, 조사는 폐쇄형으로 LED 광원이나 수온, 수질 모니터링 조정 시스템 등으로 환경을 제어하는 ​​시스템이 대상이다.

 

반 순환식도 포함한 RAS2024년이 전년 대비 66.7% 증가한 150억 엔, 2030년에 190억 엔으로 예측. 수조, 여과장치, 수온 조정기기, 살균장치, 자동급식시스템 일련의 연간 수주액으로 건설비나 토지대 등은 포함하지 않는다.

 

대두와 콘약 등 식물원료를 사용하는 대체 어패류 시장은 202419,000만 엔, 2030년이 175,000만 엔으로 예측했다. 2020년에 후지제유의 소이우니’, 2021년에 아즈마 후즈의 마루데 어류 시리즈’, 넥스트미츠의 넥스트 참치발매로 시장이 형성됐다. 아즈마 푸즈는 2024년 신공장을 설립해 증산하는 등 시장은 2자리 신장을 유지한다.

 

또 배양육, 배양 어육은 글로벌로는 시장이 성장하고 있지만, 일본 국내는 연구개발 도상에서 법제 정비가 진행되고 있지 않아 시장의 성장은 30년경부터 본다. 오사카·간사이 박람회에서 세포 배양 기술을 선보이는 등 개발은 진행되고 있으며, 향후에는 상용화를 위한 미각면과 비용면의 개선에 더해 소비자 이해를 어떻게 심화시킬 지가 포인트이다.

 

세계의 시장 규모는 대체 단백질이 2024년이 전년 대비 19.6% 증가한 63,912억 엔, 2030년은 2024년 대비 92.2% 증가한 122,816억 엔으로 예측. RAS3D 푸드 프린터 등의 제조 장치와 시스템은 전년 대비 94.1% 증가한 2024년이 209억 엔, 2030년은 2024년 대비 61.2% 증가한 337억 엔으로 예측했다.

 

출처 : 日刊みなと新聞 2025421

원문 : https://www.minato-yamaguchi.co.jp/minato/e-minato/view/?id=4023&page=1#page=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