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차 김산업 진흥 기본계획 수립
출처
출처
수산물안전정보서비스
작성일
작성일
2023-09-14 08:48:28
   
정책정보
 

1차 김산업 진흥 기본계획 수립

추진배경

간편하고 건강한 식품’* 요건을 충족하는 글로벌 식품 김은 ‘22년 수출 6.5억불(전체 21%)을 달성하여 수산식품 수출 1위 품목**으로 성장

* 간편건강식품 요건 : 바로 또는 간단한 조리를 통해 간단히 섭취할 수 있으면서, 우리몸에 필요한 영양소를 골고루 갖춰 건강에 도움을 주는 식품

** 김 수출(억불) : (’10) 1.1 (’12) 2.3 (’17) 5.1 (’19) 5.8 (’21) 6.9 (’22) 6.5

- (생산) 김은 한국, 중국, 일본에서 주로 생산되며, 마른김·조미김의 원료로 사용되는 방사무늬김은 우리나라가 세계 1* 생산국

* 방사무늬김 생산량 : 한국(‘20, 54만톤), 중국(‘20, 44만톤), 일본(‘20, 29만톤)

- (수출) 지난 13(’10’22)간 김제품의 수출금액(연평균 16.5%) 및 수출물량은(연평균 10.1%) 증가

* 수출량 3.2/수출액 6.2배 증가 : ('10) 9.6천톤 / 1.1억불 ('22) 30.5천톤 / 6.5억불

- (필요성) 김산업은 생산 및 취업 유발효과가 타 품목에 비해 높아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육성 필요

* 생산유발효과(‘19) : 1.80, 취업유발계수(’19) 24.5

** 출처/산출방식 : 한국은행산업연관표를 이용한 김수출 1억불 달성 시 부가가치 규모/ 연도별 수출증가액 × 농림수산품 부가가치유발계수(0.848)

이에김산업의 육성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이하 김산업법”)제정 및 시행에 따른 기본계획 수립 필요

- 김산업법제정(’20.12.22.) 및 시행(‘21.12.23.)

우리나라 김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 및 고부가가치 산업으로의 체계적인 육성·지원을 위한 중장기 정책 과제 제시 필요

 

계획의 범위와 성격

기본계획은김산업법에 따라 김산업의 체계적인 육성 및지원을통한 김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5년마다 수립(법 제4)

- (범위) 김산업*은 김**의 생산양식가공제조조리포장보관수송유통수출판매 등에 관한 산업 전반을 의미

* (김산업법 제2조제2) “김산업이란 생산양식가공제조조리포장보관수송유통수출판매 등에 관한 산업으로 대통령으로 정하는 산업

** (김산업법 제2조제1) “이란 바다에 서식하는 해양수산생물 중 광합성을 하면서 포자로 번식하는 홍조식물 김파래목 김파래과 김속 또는 돌김속에 속하는해조를 총칭하는 다세포 식물

- (내용) 김산업 진흥에 관한 기본목표와 추진방향 및 김산업관련기술의 개발 및 보급 등 11개 분야를 기본계획에 포함토록규정

<김산업의 육성 및 지원에 관한 법률4조 및 같은 법 시행령 제3>

1. 김산업 진흥에 관한 기본목표와 추진방향

2. 김산업 관련 기술의 개발 및 보급 등에 관한 사항

3. 김산업 전문인력의 육성 및 통계정보화에 관한 사항

4. 김양식의 생산성 향상과 김가공품의 소비촉진 및 유통지원에 관한 사항

5. 김과 김가공품의 판매확대를 위한 시장 개척 및 홍보에 관한 사항

6. 국제교류협력 및 수출시장 확대 지원에 관한 사항

7. 김과 김가공품의 품질향상 및 관리에 관한 사항

8. 김산업진흥구역의 지정에 관한 사항

9. 김 품종의 연구 및 개발에 관한 사항

10. 김제품의 위생안전관리와 가공제조 분야의 품질관리에 관한 사항

11. 그 밖에 김산업의 진흥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사항

 

수출 현황

(현황) 김 수출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나, ’216.9억불, ‘226.5억불로 수출 하락으로 전환

- 수입국 위생·안전 관련 비관세 장벽 강화 및 경쟁국 증가로 단가 하락

* 수출량 3.2/수출액 6배 증가 : ('10) 9.6천톤 / 1.1억불 ('22) 30.5천톤 / 6.5억불

(수출대상국) ‘22111개국(‘1064개국)이며, 4개국(,,, 태국)이 전체 수출의 61.4% 차지

* 일본은 수입할당(IQ) 제도를 통해 수입량을 제한 중으로 매년 협상(-일 수산물 무역과장 회의)을 통해 총 연간 할당량을 품목별(마른김, 조미김 등)로 배분


추진목표 : 김산업 육성 전략 수립하여 2027년까지 김수출 10억 달러 달성

기본방향

세계 김산업 주도(’23‘27)

- 생산품질안전 : 건강하고 우수한 우리 김 생산

- R&D수출 : 지속가능하고 세계화된 우리 김 가치 창출

- 비전 달성 : 수출금액 10억 달러 달성

4대 전략 12개 추진과제


* 출처 : 해양수산부 보도자료(2023. 09. 11) 발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