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식품 알레르기와 수산물 알레르기 | |||
![]() |
수산물안전정보서비스 |
![]() |
2009-03-09 12:00:00 |
○ 식품 알레르기란? ○ 알레르기를 유발할 수 있는 식품 ※ 주요 알레르기 유발 식품 ※ 생선 알레르기 연구에 따르면 특정 수산물 알레르기가 있는 사람은 비슷한 종류의 수산물을 섭취할 때 알레르기가 있을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대구에 알레르기가 있다면 같은 어류인 남방대구(Hake)나 해덕, 고등어 등 에도 알레르기가 있을 수 있으며, 이러한 생선 알레르겐(fish allergens)은 조리를 통해서 사라지지 않는다. 영국 및 유럽연합에서는 2005년 11월 이후 식품라벨 규정에 해당 제품이 생선(혹은 생선 성분)이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포장에 명시하도록 요구하고 있다. 한편 어류는 적절하게 냉동하거나 냉장하지 않을 경우 다량의 히스타민이 생성되는데, 히스타민 중독은 수산물 알레르기 반응과 유사한 증상을 유발하며, 종종 어류, 갑각류, 패류 알레르기 반응으로 오인되기도 한다. 수산물 알레르기 반응인지 히스타민 중독인지 확실치 않을 경우 알레르기 전문의에게 진찰을 받거나 응급실에서 치료를 받아야 한다. ※ 갑각류 알레르기 영국 및 유럽연합에서는 식품라벨 규정에 해당 제품이 조개류나 갑각류(혹은 조개류나 갑각류 성분)이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포장에 명시하도록 요구하고 있다. ○ 식품 알레르기 증상 ※ 식품 알레르기의 주요 증상 ○ 식품 알레르기반응 치료법 및 예방법 알레르기 반응을 유발하는 식품을 섭취하여 증상이 발생하였을 경우, 과민증에 대한 긴급 치료방법으로는 아드레날린을 주사하고 병원 응급실에서 추가 치료 및 경과를 지켜보는 것이다. 알레르기가 심한 사람의 경우, 알레르기 전문의에게 처방받은 아드레날린을 항상 지니고 다니고, 스스로 알레르기를 주사하는 방법을 익혀 두어야 한다. 자료: 수산물안전정보서비스 운영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