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리집 로고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해외] 식품 알레르기와 수산물 알레르기
출처
출처
수산물안전정보서비스
작성일
작성일
2009-03-09 12:00:00

 

○ 식품 알레르기란?
식품알레르기란 특정 알레르기 유발식품으로 인해 인체 면역체계가 과도한 반응을 일으켜 발생하는 심각한 신체 반응을 말한다. 위장관이 미숙한 영유아 또는 어린이에게 흔히 발생하고 나이가 들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다.  

○ 알레르기를 유발할 수 있는 식품
미국 FDA는 아래에 나타난 식품이나 아래의 재료의 단백질이 들어간 식품을 알레르기 반응을 유발하는 주요 물질로 나타내고 있으며, 실제로 미국에서 발생하는 식품 알레르기 반응의 90%가 해당 식품에 기인한 것으로 나타났다. 

※ 주요 알레르기 유발 식품
1. 우유
2. 난류(eggs)
3. 땅콩
4. 아몬드, 월넛, 피칸 등의 트리넛트(tree nuts)
5. 콩, 대두
6. 밀
7. 어류
8. 게, 바닷가재, 새우 등의 갑각류  

※ 생선 알레르기 



생선섭취에 의한 알레르기 반응은 아이들보다 어른들에게 더 자주 나타나며, 이는 어른들이 아이들 보다 생선을 더 자주 섭취하기 때문이다. 생선 섭취로 인한 알레르기 반응은 때때로 과민증(anaphylaxis)과 같은 심각한 부작용을 나타내기도 한다.  

연구에 따르면 특정 수산물 알레르기가 있는 사람은 비슷한 종류의 수산물을 섭취할 때 알레르기가 있을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대구에 알레르기가 있다면 같은 어류인 남방대구(Hake)나 해덕, 고등어 등 에도 알레르기가 있을 수 있으며, 이러한 생선 알레르겐(fish allergens)은 조리를 통해서 사라지지 않는다.  

영국 및 유럽연합에서는 2005년 11월 이후 식품라벨 규정에 해당 제품이 생선(혹은 생선 성분)이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포장에 명시하도록 요구하고 있다.

한편 어류는 적절하게 냉동하거나 냉장하지 않을 경우 다량의 히스타민이 생성되는데, 히스타민 중독은 수산물 알레르기 반응과 유사한 증상을 유발하며, 종종 어류, 갑각류, 패류 알레르기 반응으로 오인되기도 한다. 수산물 알레르기 반응인지 히스타민 중독인지 확실치 않을 경우 알레르기 전문의에게 진찰을 받거나 응급실에서 치료를 받아야 한다.  

※ 갑각류 알레르기 



갑각류(혹은 조개) 알레르기 반응은 게, 가재, 참새우, 굴, 조개, 홍합 등의 조개류 및 갑각류에 민감한 반응을 보이는 사람들에게서 나타나는 일반적인 증상으로, 특정 조개류 혹은 갑각류 알레르기가 있는 사람은 비슷한 종류의 조개류나 갑각류를 섭취할 때 알레르기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알레르기 반응은 여러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으며, 아주 민감한 사람은 때로 조개류를 요리하면서 발생하는 수증기로 인해 알레르기 반응을 보이기도 한다.

영국 및 유럽연합에서는 식품라벨 규정에 해당 제품이 조개류나 갑각류(혹은 조개류나 갑각류 성분)이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포장에 명시하도록 요구하고 있다.

○ 식품 알레르기 증상
해당 식품에 알레르기 반응을 보이는 사람이 알레르기 유발 식품을 섭취하였을 경우 그 증상은 빠르고 신속하게 일어나며, 경증에서 중증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증상을 일으킨다. 가장 심각한 알레르기 반응은 과민증(anaphylaxis)으로, 호흡곤란, 혈압 강하 또는 쇼크 등을 일으켜 의식불명, 심지어 사망에 이를 수도 있다. 알레르기 반응의 증상은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 식품 알레르기의 주요 증상
1. 얼굴 홍조, 두드러기, 발진, 피부 붉어짐 및 따끔거림
2. 눈, 얼굴, 입술, 목, 혀 부어오름
3. 호흡, 언어, 섭식 장애
4. 불안, 피로, 심신 미약, 창백, 허약 증세
5. 복통, 설사, 구토
6. 혈압강하, 심박수 증가, 의식불명 

○ 식품 알레르기반응 치료법 및 예방법
현재까지 식품 알레르기에 대한 완전한 치료법은 없다. 따라서 특정 알레르기 유발 물질을 피하는 것이 최선의 방법이며, 이를 위해 특젱 식품에 알레르기 반응을 보이는 소비자는 반드시 제품 라벨에 식품 알레르기 반응을 유발 할 수 있는 성분이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해야 한다. 만약 원료 목록을 볼 수 없는 경우나 원료에 대해 잘 알지 못하는 경우에는 그 제품을 피해야 한다.

알레르기 반응을 유발하는 식품을 섭취하여 증상이 발생하였을 경우, 과민증에 대한 긴급 치료방법으로는 아드레날린을 주사하고 병원 응급실에서 추가 치료 및 경과를 지켜보는 것이다. 알레르기가 심한 사람의 경우, 알레르기 전문의에게 처방받은 아드레날린을 항상 지니고 다니고, 스스로 알레르기를 주사하는 방법을 익혀 두어야 한다.

자료: 수산물안전정보서비스 운영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