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철 수산물 ‘우렁이’
출처
출처
수산물안전정보서비스

8월  제철수산물

제철 수산물 ‘우렁이’

  전래 동화 「우렁 각시」 등을 통해 우리에게 친숙하게 여겨지는 우렁이. 우리나라가 전통적으로 논농사를 지어오면서 논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우렁이가 그만큼 가깝게 느껴지기 때문에 그런 동화도 생겨난 것이리라.

  그래서인지 우렁이와 관련된 속담도 많다. ‘우렁이도 두렁 넘을 꾀가 있다’는 속담은 미련하고 못난 사람도 제 요량은 있고 한 가지 재주는 다 가지고 있다는 의미로, 세상을 사는 나름의 역할이 있음을 이른다. ‘우렁이 속 같다’는 말은 속으로 파고들면서 굽이굽이 돌아서 헤아리기 어렵다는 뜻과 마음씨가 의뭉스럽다는 뜻을 가지고 있다. ‘우렁이도 집이 있다.’는 말은 우렁이와 같은 미물도 그 집 즉 외각이 있는데 사람으로서 그 몸을 의탁할 집이 없음을 말한다.

  우렁이는 연체동물의 복족강에 속하는 중복족목과 병안목의 몇몇 과에 속하는 동물을 총칭하는 이름으로, 학명은 Cipangopaludina chinensis GRIFFTH & PIDGEON이다. ‘우렁’자가 붙은 명칭을 가지는 것들은 여러 종이 있으며, 우렁이가 어느 한 가지 특정한 속이나 과를 지칭하지는 않는다.

  우렁이는 큰 것은 각고 65㎜, 각경 40㎜ 정도의 크기이고, 나탑은 6층이고 각정이 침식되는 경우가 많다.

  우렁이는 논이나 작은 연못에 사는데, 모내기한 벼 포기가 진초록으로 바뀌는 5~6월이면 짝짓기하는 우렁이를 발견할 수 있다. 짝짓기 시기가 지나면 논두렁의 풀이나 벼의 줄기에 선명한 분홍빛 알을 무더기로 낳는다. 우렁이는 겨울에 마른 논에서 지내는 등 장기간 건조한 환경도 견뎌낼 수 있다.

  우렁이는 물속의 풀을 먹어치우는 습성을 가지고 있어 논 잡초를 제거하면서도 토양과 수질을 오염시키지 않는 친환경 농법에 활용되기도 한다. 우렁이 농법은 모내기 전 논바닥을 평탄하게 한 뒤 이앙 후 7일 이내에 우렁이 종패를 뿌려주고, 방사 후 2~3일간 우렁이가 수면 위로 노출되지 않고 벼는 물에 잠기지 않도록 관리한다. 방사 후 7일이 지나면 10-15cm 높이로 논의 물을 맞춰 잔여 잡초가 물에 잠기도록 해 우렁이가 잡초를 뜯어 먹게 한다.

  우렁이는 지방 함량이 낮아 다이어트시 단백질 공급에 좋으며, 칼슘과 철분이 함유되어 있어 골격형성에 좋으므로 성장기 어린이에게 좋고, 골다공증 및 빈혈 예방에도 좋다. 이뇨작용을 도와 부종에 좋으며, 비타민 B1이 풍부하여 피로회복을 촉진하고, 우렁이의 콘드로이친 황산은 주름 개선 효과도 있다. 콜라겐 형성을 촉진하여 피부 미용에도 좋다 한다. 또한 간의 해독 작용에 좋아 간기능 개선에도 효과적이다.

  우렁이를 구입할 때에는 껍질이 단단하며 발바닥(기어다니는 부분)이 넓고 타원형이며 색깔은 회색인 것을 고른다.

  물에 담가 해감을 토하게 한 뒤 흐르는 물에 깨끗이 씻어 조리에 이용하면 되는데, 바로 먹지 않을 경우 냉장보관하거나 살짝 데쳐 살만 발라 비닐팩에 넣어 냉동 보관하면 좋다.

  우렁이는 보통 삶아서 초고추장에 찍어 먹거나 얼큰하게 탕이나 찌개를 끓인다. 새콤달콤하게 우렁무침으로도 먹고, 우렁쌈장을 만들기도 한다.

  가정에서 쉽게 조리할 수 있는 ‘우렁이된장찌개’ 레시피를 소개한다.

우렁이된장찌개 우렁이된장찌개
식재료 우렁이 100g, 애호박 80g(1/4개), 감자 100g(2/3개), 두부 150g(1/3모), 풋고추 30g(2개), 붉은 고추 30g(2개), 물 600mL(3컵), 된장 2큰술, 대파 20g(1/2뿌리), 다진 마늘 1작은술, 소금 약간
조리방법
  • 우렁이는 1~2일 물을 계속 갈아 주어 해감을 한 후 삶아서 살을 꺼낸다.
  • 감자와 애호박은 도톰하게 은행잎 모양으로 썰고, 두부는 납작하게 썬다(4×3×0.5cm).
  • 풋고추, 붉은 고추, 대파는 어슷썬다(0.3cm).
  • 냄비에 된장을 풀어 감자를 넣어 끓인다.
  • 감자가 어느 정도 익으면 두부, 애호박, 우렁이를 넣어 끓인다.
  • 한소끔 끓고 나면 풋고추, 붉은 고추, 대파, 다진 마늘을 넣고 소금으로 간을 맞추어 푹 끓여 낸다.
< 출처 :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식품종합정보시스템>